Insights
구글 SEO 최신 가이드 2편 : 구글 검색 엔진 최적화 작업 워크플로우
2016-05-19
By
Roi Nam
Insights
구글 SEO 최신 가이드 2편 : 구글 검색 엔진 최적화 작업 워크플로우
May 19, 2016
By
Roi Nam
Insights

구글 SEO 최신 가이드 2편 : 구글 검색 엔진 최적화 작업 워크플로우

2016-05-19
By
Roi Nam

이 글은 2025년 8월 8일에 업데이트 됐습니다.

지난 번 [구글 SEO 최신 가이드 1편 : 구글 검색 엔진 최적화는 어떻게 시작해야 할까?]에서는 구글 SEO에 관한 기본적인 정보들에 관해 알아봤는데요. 오늘은 실제로 SEO를 적용해서 구글 검색 엔진 최적화 작업을 어떻게 하는지 알아보려고 해요.

그런데 일반적인 가이드라인만 알려드리면 어떻게 우리 브랜드와 웹사이트에 적용할 수 있을지 모르실 수도 있어요. 그래서 이번 [구글 SEO 최신 가이드 2편]에서는 글 SEO 최적화 작업의 워크플로우를 자세히 알아보려고 해요.

주의 : 이 가이드는 철저히 주관적인 관점에서 서술되었으므로, 구글에서 제시하는 공식 가이드를 참조하고 싶으신 분은 구글의 개발자 체크리스트를 참조해 주시기 바랍니다.

📌 오늘의 Key Takeaways

  • 테크니컬 SEO는 검색엔진의 이해를 돕는 기초 작업으로, HTTPS와 사이트맵, robots.txt, 구조화 데이터 등의 작업을 해요.
  • 키워드 리서치는 SEO 전략의 방향을 설정하는 나침반이에요. 메인, 미들, 롱테일 키워드를 구조화하면 사용자 검색 의도를 단계별로 공략할 수 있어요.
  • 콘텐츠 SEO는 키워드의 ‘맥락’을 콘텐츠에 녹여내는 작업이에요. 제목, 본문, 메타데이터, 내부 링크 등을 체계적으로 구성해야 검색엔진이 콘텐츠를 정확히 이해할 수 있어요.
  • 온서프(On-SERP), 오프페이지(Off-Page) SEO는 신뢰도와 노출을 동시에 높여줘요. 스키마 마크업, 백링크, 게스트 포스트, SNS 채널 운영 등은 검색 결과 내 가시성을 확장하는 중요한 전략이에요.
  • GA4와 서치콘솔을 통해 SEO 성과를 주기적으로 진단하세요. 클릭수, 노출수, 전환율 등을 분석하면 어떤 키워드와 콘텐츠가 성과를 내는지 명확히 파악할 수 있어요.

1. 구글 검색 상위 노출을 위한 SEO 워크플로우

본격적으로 구글 SEO 최적화 작업을 알아보기 위해 구글 검색 상위 노출을 위한 SEO 워크플로우에 관해 자세히 알아볼게요. 지난 1편에서도 말씀드렸지만, SEO 컨설팅 업체 [TBWA Datalab]에 따르면 SEO 워크플로우는 아래와 같이 진행돼요.

구글SEO 워크폴로우(이미지 출처 : TBWA)

1) 비즈니스, 웹사이트 현황 분석

가장 먼저 자사와 경쟁사의 비즈니스 환경을 분석하고, 타겟 고객과 시장을 파악해요. Ubersuggest나 Ahrefs와 같은 전문 SEO 솔루션으로 웹사이트 퍼포먼스 진단(SEO Audit)하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SEO 전략을 수립해요. 여기서, 자사 웹사이트의 차별점과 목표를 명확히 설정하여 SEO 전략의 방향성을 정립해야 해요.

2) 테크니컬 SEO

SEO Audit 결과에서 나타난 웹사이트의 기술적인 문제 및 요소들을 점검해요. 기본적으로 웹사이트 구조 최적화, HTTPS 적용, 사이트맵(Sitemap.xml) 생성, robots.txt 파일 설정, 모바일 친화성, 페이지 로딩 속도 개선, 기타 웹사이트 보안 설정 등의 작업을 진행해요.

3) 키워드 리서치 

타겟 고객의 검색 의도와 정보를 파악하여, 비즈니스와 관련성이 높은 주제와 키워드를 선정해요. 키워드 리서치는 메인 키워드 선정, 키워드 리스트 확장, 타겟 키워드 필터링의 3단계로 진행되며, 주기적인 업데이트가 필요해요.

최근에는 구글 검색 엔진 알고리즘이 맥락을 이해할 수 있을 정도로 지속해서 업데이트 되면서, 단순히 키워드를 넘어 주제나 카테고리 전체를 고려해서 키워드를 리서치하는 게 중요해지고 있어요.

4) 콘텐츠 SEO

사용자에게 유용한 양질의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해 본격적으로 ‘E-E-A-T’ 기준을 충족하는 콘텐츠를 제작해요. 여기서는 독창적인 콘텐츠 주제 기획. 웹사이트의 가독성을 높이는 적절한 H태그 구조, 적절한 타이틀 태그와 메타 디스크립션, 이미지 경량화 및 대체 텍스트(Alt-Text) 적용 등 사용자 중심 최적화 등을 고려해야 해요. 

5) 온서프 SEO

구조화된 데이터를 활용해 검색엔진이 콘텐츠를 더 잘 이해하도록 도와요. 지역 기반으로 운영되는 브랜드라면 구글 마이 비즈니스를 통해 지역 비즈니스 정보를 상세히 제공하여 검색 노출과 고객 소통을 강화해야 해요.

6) 오프페이지 SEO

백링크의 양과 질을 진단하여 품질 높은 백링크를 확보하는 전략을 수립해요. 예를 들어, 자체 소셜 미디어 계정을 운영하거나, 유관 웹사이트에 게스트 포스팅을 하면서 자사 웹사이트 링크를 공유할 수 있어요. 저품질 백링크는 Disavow File을 구글에 제출하여 웹사이트의 신뢰도를 높일 수 있어요.

그럼 실제로 위 SEO 워크플로우를 어떻게 적용할 수 있을지 하나씩 알아보도록 할게요.

2. 우리 웹사이트와 비즈니스 현황 분석

먼저 우리 웹사이트와 비즈니스 현황을 분석해야 해요. 기본적으로 SWOT 분석이나 기타 비즈니스 분석 방법을 통해 타 경쟁사 대비 우리 브랜드의 경쟁도를 비교해요. 여기에 SEO 현황을 분석하기 위해 ‘전문 SEO 솔루션’을 활용해서 ‘SEO 진단(SEO Audit)’을 실시해요.

시중에 전문 SEO 솔루션은 여러가지가 있는데요. 대표적인 솔루션은 아래와 같아요.

💻 대표 SEO 솔루션 6가지

  1. Ahrefs
  2. SEMrush
  3. Ubersuggest
  4. Screaming Frog
  5. Moz
  6. SEranking
Ahrefs 사용 화면(이미지 출처 : Ahrefs 홈페이지)
SEMrush 사용 화면(이미지 출처 : SEMrush 홈페이지)
우버서제스트(Ubersuggest) 사용 화면

여기서 글로벌 기업들도 많이 사용하는 솔루션은 Ahrefs와 SEMrush인데요. SEO를 진단하고 모니터링할 수 있는 기능이 많지만 비용이 상당하다는 단점이 있어요. 그래서 현실적으로 비용이 부담된다면 Ubersuggest나 Screaming Frog와 같이 상대적으로 저렴한 솔루션을 이용하는 것을 추천드려요.

SEO 솔루션마다 차이는 있지만 SEO Audit를 실시하면 다음과 같은 정보들을 확인할 수 있어요.

📊SEO 솔루션으로 알 수 있는 정보들

  1. 테크니컬 SEO 데이터 및 이슈(사이트 속도, 가시성 등등)
  2. 도메인 점수
  3. 예상 월 자연 유입(Monthly Organic Traffic)
  4. 페이지별 트래픽 및 유입 키워드
  5. 자연 유입 키워드 정보(키워드 갯수, 키워드별 랭킹, 랭킹별 키워드 갯수 등)
  6. 백링크 데이터(백링크 갯수, 백링크가 형성된 사이트, 백링크 앵커 텍스트 등)
  7. 기타 SEO 이슈(사이트맵, robots.txt, HTTPS 적용 여부, 콘텐츠 길이, 메타 데이터 및 디스크립션 등등)

위 정보들을 확인했다면, 테크니컬, 주제 선정 및 키워드 리서치, 콘텐츠, 온서프, 오프페이지 등 단계별로 이슈들을 어떻게 해결할 지 전략을 세워야 해요.

3. 테크니컬 SEO 작업 : 웹사이트의 토대와 구조를 세우세요.

현황과 문제점들을 진단했다면 이제 테크니컬 SEO를 시작으로 검색 엔진 최적화 작업을 시작해요. 많은 분이 테크니컬 SEO를 ‘집의 토대와 구조를 세우는 작업’이라고 표현하시는데요. 그만큼 SEO 작업에서 가장 우선적으로 점검해야 하는 게 바로 테크니컬 SEO예요. 

아무리 좋은 콘텐츠를 많이 발행한다고 해도 기술적인 이슈가 해결되지 않으면 검색 순위가 뒤로 밀리거나, 사이트가 검색에서 아예 제외될 수도 있어요.

그렇다면 테크니컬 SEO는 무엇부터 점검해야 할까요? 웹사이트 점검 사항은 정말 여러가지가 있지만, 그중에서도 기본이 되는 항목들만 추려서 알려드릴게요.

1) HTTPS(하이퍼텍스트 전송 프로토콜 보안) 설정을 위한 SSL 인증서 발급

HTTPS는 사용자의 정보를 암호화해 안전하게 보호하는 프로토콜이에요. 웹사이트에 SSL 인증서를 설치하면 주소창이 자물쇠 아이콘과 함께 HTTPS로 표시되고, 그렇지 않은 웹사이트는 ‘안전하지 않음’과 같은 보안 경고문이 먼저 떠요.

구글은 HTTPS를 기본 랭킹 요소 중 하나로 간주하고 있으며, 보안 프로토콜을 적용하지 않은 웹사이트(HTTP)보다 적용한 웹사이트에 더 높은 점수를 부여할 것이라고 밝혔어요.

그러므로 아직도 HTTP로 운영 중이라면 SEO 성과에 불리하게 작용할 수 있어요. 특히 웹사이트 상에서 금전적 거래가 이루어지거나 사용자의 개인 정보를 수집하고 있다면 반드시 적용해야 해요.

📌어떻게 개선할 수 있나요?

  • 신뢰할 수 있는 인증기관에서 SSL 인증서를 구입 및 설치하세요.
  • 클라우드 플레어(CloudFlare)나 카페24(Cafe24)와 같이 호스팅 업체에서 무료로 SSL 인증서를 구입할 수 있어요. 
  • 기존의 모든 HTTP 페이지를 301 리디렉션으로 HTTPS로 리디렉션 처리하세요.
  • 이미지, CSS, JS 등 웹사이트 내 소스들도 모두 HTTPS로 불러오는지 확인해 혼합 콘텐츠 오류가 없게 하세요.
  • 사이트맵, robots.txt 등도 모두 HTTPS URL로 갱신하세요.

2) 사이트맵(Sitemap.xml) 파일 생성 및 제출

사이트맵은 검색 엔진에게 웹사이트의 전체 구조와 중요 페이지를 안내하는 파일인데요. ‘우리 사이트에는 이런 페이지가 있어요’라고 알려주는 설계도나 네비게이션 같은 역할을 해요. 특히 페이지 수가 많거나, 카테고리 구조가 복잡한 사이트라면 검색 엔진이 중요한 페이지를 빠뜨리지 않도록 꼭 제출해야 해요.

파일 형식은 ‘sitemap.xml’로, 모든 주요 페이지의 URL, 마지막 수정일 등을 담고 있어서 크롤러가 빠르고 정확하게 웹사이트를 탐색하고 인덱싱할 수 있게 해줘요.

또한 검색 엔진별 서치 센터 사이트(구글 서치 콘솔, 네이버 서치 어드바이저, 빙 웹마스터 도구 등)에 직접 사이트맵을 제출하면 검색 엔진이 신규 콘텐츠나 변경된 페이지도 훨씬 빠르게 크롤링할 수 있어요. 특히 많은 카테고리, 자주 변경·추가되는 페이지가 있는 사이트라면 필수적이죠.

📌어떻게 개선할 수 있나요?

  • 직접 사이트맵 파일을 만들려고 한다면 ‘sitemap.xml’ 형식으로 생성하고, 웹 루트 디렉토리에 업로드하세요.
  • CMS(워드프레스, 웹플로우, 프레이더 등)를 이용하고 있다면 SEO 플러그인이나 사이트맵 생성 기능을 이용해 ‘sitemap.xml’을 자동 생성할 수 있어요.
  • 생성된 사이트맵을 구글 서치콘솔, 빙 웹마스터 등에서 sitemap.xml을 직접 제출해 검색 엔진이 수월하게 크롤링할 수 있게 하세요.
  • 새로운 페이지 추가나 업데이트가 있을 때마다 사이트맵을 주기적으로 최신화하세요.
  • 사이트맵 내 링크들은 반드시 HTTPS URL로 맞춰 주세요.

3) 적절한 robots.txt(로봇 배제 표준 파일) 생성

robots.txt 파일은 검색 엔진 크롤러가 웹사이트 내 어떤 영역에 접근할지 지정하는 파일로, 일종의 ‘문지기’ 역할을 해요. 검색 엔진 크롤러에게 '이 페이지는 크롤링해도 돼요', '이건 하지 마세요'라고 알려주는 역할을 하는 것이죠. 

민감한 정보나 테스트용 페이지가 검색 결과에 뜨지 않도록 하려면 반드시 설정해야 하는데요. 예를 들어, /admin/ 같은 관리자 페이지나 내부 검색 결과 페이지(/search/), 개인정보나 중복된 페이지는 검색엔진에 노출되는 걸 방지해야 해요.

예를 들어, 관리자 페이지(/admin/)를 모든 검색 엔진에서 색인되지 않도록 설정하고 싶다면 아래와 같이 robots.txt를 작성할 수 있어요.

  • User-agent: *
  • Disallow: /admin/

또한 검색 엔진별로 색인 설정을 다르게 할 수 있는데요. 예를 들어, 네이버 검색 엔진이 ‘all directory’ 폴더 이하에 접근하는 것을 막고 싶다면 아래와 같이 robots.txt를 작성할 수 있어요.

  • User-agent: Yeti
  • Disallow: /all-directory/

검색 엔진마다 다르게 설정하고 싶다면 User-agent에 해당 검색 엔진의 크롤러 이름을 적어야 하는데요. 사람들이 자주 사용하는 검색 엔진 크롤러 이름을 아래와 같아요. 크롤러명을 지정하실 때 꼭 참고하세요.

  1. 구글 : Googlebot
  2. 네이버 : Yeti
  3. 다음 : Daum
  4. 빙 : Bingbot

robots.txt를 실수로 잘못 설정해서 중요한 페이지를 차단하면 검색 누락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니 꼼꼼히 체크해야 해요.

📌어떻게 개선할 수 있나요?

  • 사이트 루트 디렉토리에 robots.txt 파일을 생성한 후 접근 허용(Allow)과 차단(Disallow) 경로를 명확히 구분해서 지정하세요.
  • 차단하고 싶은 디렉토리와 허용할 디렉토리를 명확히 구분하세요. 중요한 랜딩페이지, 카테고리 등은 반드시 ‘Allow’로 설정하고, 중복 URL, 임시파일, 관리자 페이지 등은 ‘Disallow’하세요.
  • 서치 센터 사이트(구글 서치 콘솔, 네이버 서치 어드바이저, 빙 웹마스터 도구 등)에서 robots.txt가 제대로 설정되어 있는지 크롤러 접근 권한과 설정 오류 여부를 주기적으로 점검하세요.

4) 웹사이트 속도와 가시성 최적화

웹사이트의 로딩 속도는 방문자의 경험과 SEO 모두에 직접적인 영향을 줘요. 웹사이트 로딩 속도가 너무 느리면 사용자는 기다리기보다 그냥 나가버려요. 콘텐츠가 아무리 좋아도, 열리는 데 5초 넘게 걸리면 사용자는 90% 이상 이탈할 수 있어요.

이처럼 사이트의 반응 속도가 느리면 이탈률이 높아지므로, 구글은 페이지 속도가 느린 웹 사이트를 검색 순위에서 불이익을 줘요. 즉, 사이트의 속도는 곧 검색엔진에 “내 웹사이트가 사용자 중심”이라는 긍정 신호를 준다고 볼 수 있어요.

📌어떻게 개선할 수 있나요?

  • 구글 PageSpeed InsightsLighthouse를 통해 웹사이트 속도를 측정해 보세요.
  • 이미지 파일은 WebP 또는 압축 포맷으로 최적화하세요.
  • 불필요한 JS, CSS 파일은 제거하거나 병합하고, 지연 로딩(lazy load)을 적용하세요.
  • 글로벌 트래픽이 많다면 CDN(콘텐츠 전송 네트워크)을 활용해 글로벌 페이지 로딩 속도를 향상시켜 보세요.
  • 서버 응답 속도가 느리다면 호스팅 플랜을 업그레이드하는 것도 고려해 보세요.
PageSpeed Insights 검사 화면(이미지 출처 : SEO.com)

5) 모바일 반응형 최적화

웹사이트가 다루는 분야나 카테고리마다 다르지만, 대체로 모바일 기기에서의 검색과 트래픽 비율이 점점 커지고 있어요. 그렇다면 당연히 웹사이트가 모바일 화면에 최적화되어 있어야겠죠. 모바일에 불편하거나 깨지는 UI/UX는 사용자 이탈을 유발할 수 있어요. 

구글도 '모바일 퍼스트 인덱스(Mobile-first indexing)' 정책을 통해, 모바일 반응형이 잘 된 사이트에 가산점을 주고 있어요. 그러므로 만약 데스크탑에선 잘 보이지만 모바일에선 깨지거나 불편하다면 SEO 성과에 치명적일 수 있어요.

📌어떻게 개선할 수 있나요?

  • HTML/CSS 기반 반응형 웹디자인을 적용해 화면 크기에 맞게 콘텐츠가 유연하게 조절되도록 하세요.
  • 버튼은 모바일에서도 터치하기 쉽게 충분한 크기로 구성하고, 클릭 영역이 서로 겹치지 않도록 조정하세요.
  • 텍스트는 가독성 있게 크고 명확하게 보여야 해요.
  • 구글 모바일 친화성 테스트 도구를 활용해 문제점을 진단해 보세요.
  • 팝업이나 모달이 화면을 가리지 않도록 UX를 최적화하세요.

6) 구조화된 데이터(Schema Markup) 추가

구조화된 데이터(Structured Data)는 검색 엔진이 웹페이지의 콘텐츠를 더 잘 이해하도록 도와주는 코드 정보예요.

제품, 리뷰, FAQ, 이벤트 정보 등 중요한 정보에 구조화 데이터, 일명 스키마 마크업(Schema Markup 등)을 적용하면, SERP에 별점, 가격, FAQ 등 ‘리치 스니펫(Rich Snippet)’ 형태로 노출돼요.

아래는 스키마 마크업 예시예요.

<script type="application/ld+json">
{
  "@context": "https://schema.org",
  "@type": "FAQPage",
  "mainEntity": [{
    "@type": "Question",
    "name": "구글 SEO란?",
    "acceptedAnswer": {
      "@type": "Answer",
      "text": "구글 검색엔진에서 더 잘 노출되기 위해 웹사이트를 최적화하는 작업을 말해요."
    }
  }]
}
</script>

자연스럽게 경쟁 사이트 검새 결과와 차별화되면서 클릭률(CTR)이 상승하고, 검색 결과에서 더 돋보일 수 있어요. 특히 이커머스, 콘텐츠, 지역 비즈니스 사이트라면 꼭 적용하는 걸 추천드려요.

📌어떻게 개선할 수 있나요?

  • Schema.org에서 내 웹사이트 유형에 맞는 마크업 유형을 찾으세요.
  • JSON-LD 형식으로 구조화된 데이터를 웹페이지에 추가하세요. (구글 권장 방식이에요.)
  • 제품, 블로그 글, FAQ, 이벤트, 조직 정보 등 다양한 타입의 스키마가 있으니 페이지별로 스키마를 달리해 표기하세요.
  • 구글 리치 결과 테스트 도구로 마크업 적용 상태와 오류 여부를 정기적으로 점검하세요.

4. 주제 선정과 키워드 리서치

테크니컬 SEO로 웹사이트의 기반을 다졌다면, 이제 콘텐츠 방향과 전략을 결정할 차례예요. 검색 엔진은 어떤 웹사이트가 ‘사용자의 검색 의도(Search Intent)’에 맞는 정보를 얼마나 잘 제공하는지를 분석해요. 

그래서 ‘무엇에 대해 쓸지(주제 선정)’와 사용자가 실제로 검색하는 단어가 무엇인지(키워드 리서치)’를 파악하는 일이 매우 중요해요. 

키워드는 크게 ‘메인 키워드’, ‘미들 키워드’, ‘롱테일 키워드’로 나뉘는데, 롱테일 키워드는 상대적으로 경쟁이 덜하고, 구매 전환율이 높아 중소기업이나 B2B 업종, 신생 브랜드 사이트에 유리해요.

그럼 실제로 어떻게 적용할 수 있을지 단계별로 알아볼게요.

1)  주제 선정 – 검색자의 관심사에서 출발하세요.

SEO 콘텐츠의 시작은 키워드가 아닌 ‘사람’이에요. 내 고객이 실제로 어떤 상황에서, 어떤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검색을 하는지 고민해야 하며, 그 주제가 우리 브랜드의 방향성과 맞아야 해요. 단순히 제품이나 서비스 이름을 중심으로 콘텐츠를 기획하면 광고 같은 글이 되기 쉽고, 검색 노출이 어려워요.

✅ 이렇게 시작해 보세요 :

  • 우리 제품/서비스를 찾는 사람이 관련 분야에서 가장 먼저 떠올릴 고민은 무엇일까?
  • 우리 고객은 어떤 정보(비교, 후기, 팁, 비용 등)를 원할까?
  • 고객 문의, 상담 내용, 후기, 커뮤니티 글을 살펴 보세요.

예시 : 

  • “급여 지급 솔루션 쓰면 뭐가 좋지?” → 주제 : 제품 분석 도구 고르기 가이드
  • “급여 지급 업무도 복잡하고 관련 정책들도 자주 바뀌어서 따라잡기 힘드네” → 카테고리 : 급여 지급 업무와 정책에 관한 모든 것

2) 메인 키워드 선정 – 중심이 되는 검색어를 찾으세요.

주제를 정했다면, 그 주제를 대표하고 콘텐츠의 중심축이 되는 ‘메인 키워드’를 선정해야 해요. 메인 키워드는 검색량 높지만, 랭킹 경쟁이 치열하며 검색자의 의도가 다소 불분명하다는 특징이 있어요. 물론 검색량이 높은만큼 상위노출되기만 하면 높은 자연 유입을 기대할 수 있어요.

✅ 메인 키워드는 이렇게 찾으세요 :

  • 구글 키워드 플래너, Ahrefs, SEMrush, Ubersuggest 등 SEO 솔루션을 활용해 주요 키워드 후보를 추출하세요.
  • 검색량, 경쟁도, 콘텐츠 제작 난이도 등을 고려해서 결정하세요.
  • 너무 넓거나 포괄적인 키워드는 피하세요. (예: "마케팅" → 너무 넓음)

예시)

  • 급여 업무 Saas → 메인 키워드 = 급여 솔루션
  • 남성 타겟 패션 쇼핑몰 → 메인 키워드 = 남자 쇼핑몰
  • 콘텐츠 주제가 ‘구글 SEO 최적화 작업 가이드라인’ 이라면? → 메인 키워드 = 구글 SEO
우버서제스트(Ubersuggest)를 활용한 키워드 리서치
우버서제스트(Ubersuggest)를 활용한 연관 키워드 리서치

3) 미들 키워드 선정 – 주요 소주제를 구성하는 키워드예요.

미들 키워드는 메인 키워드를 구성하는 하위 카테고리 또는 핵심 개념이에요.

보통 하나의 콘텐츠 안에서 소제목(H2, H3 등)으로 사용되며, 검색 유입 키워드가 되기도 해요.

✅ 미들 키워드 찾는 팁 :

  • 검색결과 1페이지에 있는 경쟁 콘텐츠의 소제목을 분석하세요.
  • People Also Ask(관련 질문), 연관 검색어도 활용하세요.
  • Ahrefs, SEMrush, Ubersuggest 등 SEO 솔루션에서 미들 키워드를 추출하세요.
  • 서브 키워드라고도 부르며, 콘텐츠 구조를 설계하는 데 매우 중요해요.

예시)

  • 급여 업무 Saas → 미들 키워드 = 급여 관리 솔루션
  • 남성 타겟 패션 쇼핑몰 → 메인 키워드 = 30대 남자 쇼핑몰
  • 콘텐츠 주제가 ‘구글 SEO 최적화 작업 가이드라인’ 이라면? → 메인 키워드 = 구글 SEO 최적화 작업
구글 연관 검색어

4) 롱테일 키워드 선정 – 검색 의도가 뚜렷한 유입 포인트를 확보하세요.

롱테일 키워드는 단어 수가 길고, 검색량은 적지만 매우 구체적인 검색 의도를 담고 있어요.

SEO 초기에 경쟁이 적은 롱테일 키워드부터 공략하면, 점진적으로 메인 키워드 경쟁력도 높아질 수 있어요.

✅ 롱테일 키워드 찾는 방법:

  • 구글 자동완성, 연관 검색어, 네이버 지식인 등 커뮤니티 질문 활용
  • Ahrefs, SEMrush, Ubersuggest 등 SEO 솔루션에서 ‘Questions’ 탭으로 확인
  • “~하는 방법”, “~비용”, “~추천”, “~후기” 등의 키워드 패턴 활용
  • 최근 생성형 AI 검색을 사용하는 사람들이 많아지면서 질문도 하나의 롱테일 키워드로 보고 있음
  • 생성형 AI 검색에서 나타나는 예상 질문 확인

예시)

  • 메인 키워드: 구글 SEO
    • 롱테일 키워드:
      • 구글 SEO 입문자를 위한 사이트맵 설정 방법
      • 구글 SEO 최적화 작업을 위한 가이드라인 총 정리
      • 모바일 SEO는 어떻게 최적화할 수 있나요?

📌 참고 포인트

  • 키워드 난이도(KD)와 검색량을 모두 고려해서 주제를 선정하세요.
  • 사용자 검색 의도에 따라 정보형 / 비교형 / 구매형 키워드를 구분하세요.
  • 하나의 키워드에 너무 집착하기보다는 관련된 서브 키워드까지 함께 정리해 콘텐츠 설계에 활용하세요.
  • 단순히 검색량이 높은 키워드를 고르는 것이 아니라, 우리 웹사이트와 연관성이 깊고, 경쟁력이 있으며, 콘텐츠로 풀어낼 수 있는 주제인지를 함께 고려해야 해요.

5. 콘텐츠 SEO 작업

앞선 키워드 리서치에서 메인 키워드와 롱테일 키워드를 잘 선정하셨다면, 이제는 그 키워드를 바탕으로 실제 콘텐츠를 기획하고 제작해야 해요.

하지만 단순히 키워드를 많이 넣거나 콘텐츠를 많이 제작한다고 해서 좋은 콘텐츠가 되는 건 아니에요. 콘텐츠 SEO는 무작정 키워드를 '심거나' 대량의 콘텐츠를 만드는 작업이 아니라, 검색자의 의도에 정확하게 답하는 콘텐츠를 '제작하고 구조화하는' 작업이기 때문이에요.

1) 검색 의도(Search intent)를 정확히 이해하세요.

사용자가 어떤 문제를 해결하고자 검색했는지, 어떤 형태의 콘텐츠를 기대하고 있는지를 파악해야 해요.

예를 들어,

  • ‘구글 SEO 시작 방법’을 검색하는 사람은 실행 가능한 단계별 가이드를 원해요.
  • ‘구글 SEO 툴 추천’을 검색한 사람은 툴 목록과 가격 비교표를 기대하겠죠.

2) 검색 의도 종류 4가지

SEO 솔루션 기업 Moz에서는 키워드의 검색 의도를 다음 4가지로 정의하고 있어요.

사용자의 검색 의도 종류 4가지(이미지 출처 : Moz 홈페이지)
  1. 정보성(Informational) : 특정 용어나 사용법 등 정보를 알고 싶을 때 → 앰플리튜드 사용법, 구글 SEO란? 
  2. 탐색성(Navigational) : 제품이나 서비스, 브랜드에 관한 정보를 알아볼 때 → 앰플리튜드 이벤트 설정, 브레이즈 푸시 알림 사용법
  3. 구매 고려(Commercial) : 특정 제품이나 서비스 구매/가입 등을 고려할 때 → 앰플리튜드 비용, 앰플리튜드 사례, 브레이즈 후기
  4. 구매 전환 고려(Transactional) : 특정 제품이나 서비스 구매/가입을 위한 정보를 찾을 때 → 앰플리튜드 도입 문의, 워터밤 티켓 구매 사이트

여기에 경우에 따라, 특정 지역이나 위치를 중심으로 정보나 매장, 브랜드를 알아볼 때 찾아보는 지역성(Local) 키워드(강남역 공유 오피스, 역삼역 피부과 등)도 검색 의도에 포함시키기도 해요. 이렇게 키워드를 바탕으로 검색 의도를 파악했다면, 다음은 H태그로 콘텐츠 구조를 설계해야 해요.

3) SEO 친화적으로 콘텐츠 구조를 설계하는 방법

좋은 SEO 콘텐츠는 사용자는 물론이고, 구글 검색 엔진도 빠르게 이해할 수 있어야 해요. 여기서 핵심이 바로 H태그예요. 

H태그 예시(이미지 출처 : Backlinko)

H태그는 ‘헤딩 태그’라고도 하는데요. 제목과 소제목을 표시할 때 사용해요. CMS에서는 ‘제목1’, ‘제목2’, ‘제목3’으로 표시되어 있죠. H태그는 <h1>부터 <h6>까지 총 6단계이고, 논리적으로 H태그가 구조화 되어 있으면 검색 엔진이 웹사이트를 훨씬 수월하게 크롤링할 수 있어요.

✅ 콘텐츠 SEO H태그 구조화 방법

  • H1 : 콘텐츠의 핵심 주제 → 보통 제목/타이틀 태그
  • H2 : 핵심 소주제 → 콘텐츠 구성의 뼈대
  • H3 이하 : 세부 항목 구분 → 리스트/표/설명 분리

✅ H태그 구조화 예시

  • H1 : 앰플리튜드 사용법 성공 사례 3가지
  • H2 : A기업의 성공 사례 / B기업의 성공 사례 / C기업의 성공 사례
    • H3 : A기업 사례 중요 포인트
  • H2 : B기업의 성공 사례
    • H3 : B기업 사례 중요 포인트
  • H2 : C기업의 성공 사례
    • H3 : C기업 사례 중요 포인트
  • H2 : 아웃트로

📍 같이 알아두면 좋은 콘텐츠 SEO 핵심 포인트들

  1. H태그에도 핵심 키워드가 포함되면 좋아요. 예를 들어, ‘구글 SEO’가 핵심 키워드라면 적어도 H2태그까지는 핵심 키워드가 들어가면 좋아요.
  2. 콘텐츠 길이도 중요하지만 콘텐츠 퀄리티에 더 신경써주셔야 해요. 검색 의도에 맞는 정보가 정확하게 담겨있어야 해요.
  3. 이미지를 첨부하면 대체 텍스트(Alt-text)를 추가해 주세요. 구글 검색 엔진이 이를 읽고 이미지 탭에 노출시켜줄 수도 있어요.
  4. 본문 내 내부 링크과 외부 링크를 적절하게 추가해 주세요. 내부 링크는 검색 엔진이 미처 크롤링하지 못한 페이지를 확인하는 데 도움이 돼요. 그리고 외부 링크를 넣어도 별다른 불이익(검색 순위 강등, 검색 제외 등)이 없으니 걱정하지 마세요.

6. 온서프(On-SERP) SEO 작업

콘텐츠를 정상적으로 발행했다면 다음은 검색 엔진 결과 페이지에서 우리 웹사이트가 어떻게 보이는 지를 확인해야 해요. 1페이지에 우리 웹사이트가 안 보이거나, 상위노출을 했다고 해도 클릭률을 높이기 위한 작업이 필요해요. 이게 바로 ‘온서프(On-SERP) SEO 작업’이에요.

여러분도 구글 검색을 써보시면 아시겠지만, 키워드별로 SERP가 다른 형식으로 노출돼요. 상품을 검색하면 가격과 별점이 포함된 사이트가 먼저 보일 수도 있고, 맛집을 검색하면 구글 맵과 업체 정보가 상위에 노출돼요.

이처럼 우리 웹사이트가 SERP에서 키워드별로 차별화 된 페이지로 노출되게 하려면 ‘구조화된 데이터/스키마 마크업’을 추가해야 해요.

페이지별로 스키마 마크업을 직접 만들거나, CMS 플러그인 또는 앱으로 추가할 수 있어요. 페이지 <head> 섹션에 추가한 후에는 SERP에 정상적으로 노출되는 지 계속 모니터링하세요.

7. 오프페이지(Off-Page) SEO 작업

검색 엔진 최적화는 단지 내 웹사이트만 잘 만드는 것으로 끝나지 않아요. 웹사이트 외부에서 얼마나 신뢰받고 있는지, 다른 웹사이트와 어떻게 연결되어 있는지도 매우 중요한 요소예요. 

또한 SERP를 통한 검색 유입이 원활하지 않을 때, 적절한 방법으로 외부 유입을 이끌어 내면 검색 순위가 높아질 수 있어요.

이러한 웹사이트 외부에서의 일련의 작업들을 오프페이지 SEO라고 해요. 오프페이지 SEO 성과를 높이기 위한 핵심 전략을 간단하게 소개해 드릴게요.

1) 고품질 백링크 확보

백링크는 다른 웹사이트에서 내 사이트로 연결된 링크를 말해요. 구글은 여전히 백링크를 웹사이트의 신뢰도와 권위성을 판단하는 핵심 요소로 간주해요. 하지만 무분별한 링크보다는, 주제 연관성 있고, 도메인 권한이 높은 사이트로부터의 링크가 훨씬 효과적이에요.

📌 어떻게 확보하나요?

  • 인사이트 중심의 콘텐츠를 제작해 다른 블로그나 커뮤니티에서 인용될 수 있도록 유도하세요.
  • 자체 데이터 리포트나 인포그래픽, 통계를 만들면, 언론사나 리서치 블로그에서 링크로 활용할 가능성이 높아요.

2) 브랜드 SNS 및 뉴스레터 운영

브랜드의 SNS 채널과 뉴스레터는 단순한 마케팅 도구를 넘어, 콘텐츠를 확산시키는 오프페이지 SEO 자산이에요. 인스타그램이나 유튜브에도 콘텐츠를 올렸는데 알고리즘을 타고 확산되면 브랜드 인지도도 높이고 해당 채널과 콘텐츠에 연결된 링크로 잠재 고객이 유입될 수 있어요.

📌 어떻게 운영하나요?

  • 자사 콘텐츠(블로그, 인사이트, 사례 등)를 각각의 SNS 채널(인스타그램, 유튜브 등) 특성에 맞춰 제작하고 꾸준히 공유하세요.
  • 뉴스레터에는 단순 홍보보다 사용자에게 실질적인 도움을 주는 콘텐츠를 담아야 해요.
  • 발송된 뉴스레터는 웹사이트 내 아카이브 형태로 구성하면, 콘텐츠 자산화와 검색 유입 모두에 기여할 수 있어요.

3) 게스트 포스트(Guest Post)

게스트 포스팅은 우리 산업 분야와 비슷한 다른 블로그나 미디어에 내 콘텐츠를 기고하고, 내 웹사이트로 연결되는 링크를 확보하는 방식이에요. 이는 단순한 백링크 확보를 넘어, 업계 내 전문가 포지셔닝과 브랜드 노출 효과까지 누릴 수 있어요.

📌 어떻게 시작하나요?

  • 내가 속한 산업 내 영향력 있는 블로그나 미디어, 커뮤니티 채널을 찾아보세요.
  • SEO, 마케팅, 테크 등 전문적인 내용을 다루는 B2B 분야는 기고를 수용하는 곳이 많아 접근이 쉬워요.
  • 주제는 독자 입장에서 유용하면서도, 내 서비스나 솔루션을 자연스럽게 녹여내는 방향이 좋아요.

4) 인플루언서 마케팅

인플루언서를 통한 콘텐츠 확산은 단순 노출을 넘어서, 브랜드 신뢰도, 사이트 유입, 잠재적 백링크 확보까지 유도할 수 있어요. 특히 틈새 시장을 타깃으로 한 인플루언서 협업은 콘텐츠를 확산시키고 브랜드 쿼리를 증가시키는 데 효과적이에요.

📌 어떻게 활용하나요?

  • 내 타깃과 맞는 마이크로 인플루언서를 선별해 협업 콘텐츠를 기획하세요.
  • 콘텐츠는 리뷰, 인사이트, 사용기, 솔루션 소개 등 다양한 포맷으로 활용 가능해요.
  • 가능하다면 콘텐츠 안에 내 웹사이트나 블로그로 직접 연결되는 링크를 요청하세요.

5) PR 활성화

온라인 PR은 언론 노출을 통해 검색 엔진과 사용자 모두에게 신뢰 신호를 주는 전략이에요. 공식적인 매체에 보도자료나 인터뷰가 게재되면, 검색 결과에 해당 뉴스가 노출되며 브랜드 신뢰도가 상승하고, 고품질 백링크까지 확보할 수 있어요.

📌 어떻게 접근하나요?

  • 새로운 서비스 출시, 고객 사례, 데이터 기반 인사이트 등 보도 가치 있는 내용을 중심으로 PR 콘텐츠를 기획하세요.
  • 보도자료 작성 후 PR 배포 대행사(와이어 서비스) 또는 업계 기자에게 직접 배포할 수도 있어요.
  • 구글 뉴스 등록 매체에 실리면 SERP에 노출될 확률도 높아지고, 브랜드 키워드 검색시 뉴스 카드에 노출되는 장점도 있어요.

8. 구글 서치콘솔과 GA4로 지속적인 성과 모니터링

SEO는 한 번 설정했다고 끝나는 작업이 아니에요. 검색엔진 알고리즘은 계속 변화하고, 경쟁사도 끊임없이 콘텐츠를 업데이트하고 있기 때문에 우리 웹사이트의 성과도 지속적으로 측정하고 개선해야 해요. 

이때 가장 기본이 되는 솔루션이 바로 구글 서치콘솔(Google Search Console)GA4(Google Analytics 4)예요.

1) 구글 서치콘솔(Google Search Console)

구글 서치콘솔은 구글 검색 퍼포먼스를 진단하는 데 있어 가장 기본이 되는 무료 솔루션이에요. 어떤 키워드로 유입됐는지, 어떤 페이지가 잘 노출되고 있는지, 어디에서 문제가 발생하고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어요. 아래 항목들을 중심으로 살펴보면 SEO 개선 방향이 보이기 시작해요.

구글 서치콘솔 검색 실적 화면에서 클릭 수와 노출 수, CTR, 평균 게재순위를 확인할 수 있어요.

(1) 구글 검색 성과 확인

서치콘솔의 [검색 결과] 탭에서는 다음과 같은 핵심 지표를 확인할 수 있어요.

  • 노출 수 : 내 페이지가 검색 결과에 얼마나 많이 나타났는지
  • 클릭 수 : 노출된 결과 중 실제로 몇 번 클릭되었는지
  • 평균 CTR(클릭률) : 클릭 수 ÷ 노출 수 
  • 평균 게재 순위 : 검색 결과에서 평균 몇 위에 노출되고 있는지
구글 서치콘솔에서 웹사이트 유입 인기 검색를 클릭 수 순으로 정렬한 결과

그래프 하단에는 사용자가 클릭했거나 SERP에 노출된 검색어와 유입 페이지 URL, 사용자 국적, 사용 기기 등을 확인할 수 있어요.

📌 활용 Tip

  • 웹사이트 전체 노출과 클릭 추이를 살펴볼 수 있고, 특정 기간을 정해서 비교해 볼 수 있어요.
  • 클릭 수가 많지만 순위가 낮은 키워드는 콘텐츠 퀄리티를 강화하거나 오프페이지 SEO 작업을 시도하면 빠르게 순위를 끌어올릴 수 있어요.
  • 노출 수는 많지만 클릭이 적은 페이지는 제목과 메타 디스크립션, 본문 내용 일부를 매력적으로 리라이팅해 보세요.

(2) 콘텐츠 진단 : 페이지별 성과 분석

[필터 추가]에 페이지 URL을 입력하면 개별 URL 단위로 성과를 분석할 수 있어요. 어떤 페이지가 검색에서 가장 많은 유입을 이끌고 있는지 확인할 수 있고, 페이지별 노출 및 클릭 검색어를 확인할 수 있어요.

구글 서치콘솔에서 클릭 수가 가장 높았던 페이지들을 순서대로 정렬한 결과
[필터 추가]에서 특정 페이지 URL을 입력하면 해당 페이지의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어요.

📌 활용 Tip

  • 상위 노출되고 있는 페이지를 기준으로 비슷한 구조와 키워드로 유사 콘텐츠를 제작해보세요.
  • 성과가 낮은 페이지는 콘텐츠 재작성, 제목 수정, 내부링크 강화 등 리포지셔닝 작업이 필요해요.
  • 만약 페이지가 노출과 유입이 모두 낮다면 키워드가 너무 약하거나, 색인이 안 되어 있을 가능성도 있어요.
구글 서치콘솔 URL 검사로 정상적으로 색인이 등록된 페이지임을 확인할 수 있어요.

(3) 색인 상태 점검 : 인덱스 보고서

[색인 생성] [페이지] 메뉴에서는 구글이 우리 웹사이트의 페이지들을 얼마나 잘 색인하고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어요. ‘색인됨’ 페이지 수를 통해 정상적으로 검색 대상에 포함된 콘텐츠 수를 파악할 수 있어요.‘제외됨’, ‘탐색됨 – 현재 색인되지 않음’ 등의 상태는 크롤링 이슈, 중복 콘텐츠, robots.txt 차단 등 다양한 문제가 있을 수 있어요.

📌 활용 Tip

  • 중요한 페이지가 색인되지 않았다면, [URL 검사] 후 수동으로 색인 요청을 제출하세요.
  • 불필요한 페이지(예: 태그 페이지, 중복 콘텐츠)는 noindex 처리로 검색 품질을 유지하세요.

2) GA4(Google Analytics 4)

GA4는 이전 버전(UA)보다 더 유연하고 상세한 사용자 행동 분석이 가능해요. 특히 SEO 관점에서는 방문자가 어디서 왔고, 어떤 페이지에서 어떤 행동을 했는지를 파악하는 것이 핵심이에요.

구글 애널리틱스 4(GA4) 실시간 웹사이트 모니터링
구글 애널리틱스 4(GA4) 트래픽 획득 데이터

(1) 유입 경로 확인 : 획득 > 트래픽 획득 보고서

GA4에서 [보고서][수명주기][획득][트래픽 획득] 메뉴를 보면 사용자의 유입 채널별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어요.

  • Organic : 구글 검색을 통해 들어온 유입량
  • Direct : URL 직접 입력 또는 즐겨찾기 유입
  • Referral : 다른 사이트에서 유입된 트래픽
  • Organic Social: 소셜 검색을 통한 유입

📌 활용 Tip

  • Organic Search 유입량이 적다면 SEO 개선이 필요할 수 있어요.
  • 검색 유입 이후 이탈률이 높거나, 체류 시간이 낮다면 콘텐츠 품질을 점검해 보세요.
구글 애널리틱스 4(GA4) 페이지별 데이터

(2) 페이지별 성과 확인 : 참여도 → 페이지 및 화면

[보고서][수명주기] [참여도] [페이지 및 화면]에서는 페이지별로 방문자 수, 평균 참여 시간, 이벤트 수 등을 확인할 수 있어요.

여기서 어떤 페이지가 가장 많이 읽히고, 어느 페이지에서 가장 오래 머무르고, 어디서 이탈이 많은지를 비교 분석할 수 있어요.

📌 활용 Tip

상위 페이지에서 체류 시간이 낮다면 콘텐츠 가독성이나 UX를 개선해 보세요.

SEO 목적의 콘텐츠라면 페이지별 유입 쿼리를 서치콘솔과 함께 병행 분석해보는 것도 좋아요.

(3) 세그먼트 분석 : 사용자의 특성과 행동 비교

GA4에서는 아래와 같이 세그먼트를 만들어 특정 조건의 사용자 데이터를 비교할 수 있어요.

  • SEO 유입자 vs. 광고 유입자
  • 신규 방문자 vs. 재방문자
  • 콘텐츠 A 방문자 vs. B 방문자

📌 활용 Tip

  • SEO 콘텐츠로 유입된 사용자의 전환율이나 행동 흐름이 다른 유입보다 뛰어난지 확인해보세요.
  • 유입 채널별 참여율이 높은 콘텐츠 유형을 찾아 콘텐츠 전략을 조정할 수 있어요.

(4) 실시간 보고서로 즉각적인 모니터링

GA4에서는 실시간 사용자 현황도 볼 수 있어요. SEO 콘텐츠를 새로 발행한 직후에는 실시간 리포트에서 검색 유입 여부, 사용자 반응 등을 빠르게 확인할 수 있어요.

3) 더 자세하고 정확한 사용자 데이터를 알고 싶다면?

이렇게 구글 서치콘솔과 GA4를 활용하면 기본적인 트래픽 현황과 사용자 행동을 모니터링할 수 있어요. 하지만 구글 서치콘솔은 검색 유입 결과만을 보여주는 것이어서 실제로 사용자가 우리 웹사이트에서 어떻게 행동했는지는 확인할 수 없어요. 그나마 GA4는 이탈률이나 세션 데이터를 제공하지만 이마저도 정확한 사용자 행동을 보여주지는 못해요.

앰플리튜드 대시보드 화면(이미지 출처 : Amplitude 홈페이지)
앰플리튜드 히트맵 사용 화면
앰플리튜드 세션 리플레이

만약 더 자세하고 정확한 SEO 유저 데이터를 알고 싶다면 앰플리튜드(Amplitude)가 도움이 될 수 있어요. 앰플리튜드는 글로벌 프로덕트 & 데이터 분석 솔루션으로 웹사이트 히트맵(Heatmaps)세션 리플레이(Session replay)로 실제 사용자가 페이지에서 어떻게 행동했는지 확인할 수 있어요. 우리가 설정한 CTA를 실제로 클릭했는지도 확인할 수 있죠.

만약 SEO 성과 측정에 갈증을 느끼고 있었다면 앰플리튜드를 사용해서 여러분의 웹사이트를 체크해 보세요.

지금, 여러분만의 SEO를 실행해 보세요.

1편에서 전체적인 구글 SEO의 개념과 구조를 이해하셨다면, 2편에서는 실제 업무에서 바로 활용할 수 있는 구체적인 실행 전략들을 다뤘어요.

테크니컬 SEO로 웹사이트의 기반을 다지고, 정확한 키워드 리서치로 콘텐츠의 방향을 세우며, 콘텐츠 최적화와 온서프 SEO, 오프페이지 전략까지 단계적으로 이어졌죠. 그리고 마지막으로 GA4와 서치콘솔을 통해 결과를 측정하고 개선하는 방법까지 짚어봤어요.

이제 여러분만의 SEO 계획이 세워졌다면 오늘 글을 참고해서 직접 실행으로 이어나가 보세요. 키워드를 선정하고, 페이지를 개선하고, 데이터를 분석하면서 검색 시장에서 여러분의 영향력을 키워갈 수 있을 거예요.

응답이 제출되었습니다. 감사합니다.
잘못된 메일주소입니다.
구글 SEO 트래픽만 늘었다고 끝일까요?
지금 바로 앰플리튜드로 사용자 여정을 눈으로 확인하세요.
앰플리튜드 데모 신청하기
Roi Nam
더 알아보기
스푼 라디오, “고객이 원하는 콘텐츠로 좋은 관계를 형성하고, CRM을 통해 지속적으로 그 관계를 유지할 때 충성 고객이 됩니다”
글로벌 오디오 플랫폼 스푼의 글로벌 마케팅 전략과 마케팅 솔루션을 활용한 데이터 드리븐 업무 방식에 대한 자세한 스토리를 전해 드립니다.
성공 사례 보러가기
마이리얼트립, 1년 만에 국내 여행 거래액 2,000% 성장을 이룬 여행 플랫폼의 CRM 마케팅 전략
1년 만에 국내 여행 거래액 2,000% 성장을 이룬 마이리얼트립을 인터뷰했습니다. 마이리얼트립의 성장에 기여한 CRM 마케팅 전략 및 Braze 활용 인사이트를 확인해보세요.
성공 사례 보러가기
15,000명 이상의 업계 관계자들이 구독하고 있는 뉴스레터를 통해 업계 최신 트렌드를 가장 먼저 만나보세요.
응답이 제출되었습니다. 감사합니다.
잘못된 메일주소입니다.
주식회사 에이비일팔공
서울특별시 서초구 강남대로 61길 17, 3층, 4층 (서초동)
사업자등록번호: 550-88-00196
대표이사: 남성필
Copyright ⓒ 2023 AB180 Inc. All Rights Reserved.
개인정보 처리방침